인공지능 기술은 매일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며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최근 발표된 AI뉴스 10가지를 모아 그 핵심 요약과 함께 AI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혁신적인 변화들을 탐구합니다. AI 기술의 진보가 어떻게 사회, 경제, 그리고 우리 일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며, 이러한 발전이 우리 미래에 어떤 놀라운 가능성을 열어줄지 고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더불어 그에 대한 개인적인 사견을 붙여 봅니다.

1. 실적 부진으로 인공지능 주식 급락

AI뉴스

AI 관련 회사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구글 모회사), AMD 같은 기술 거인들은 시장 가치에서 총 1900억 달러가 감소했습니다. 이러한 하락은 이들 회사가 투자자들의 높은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 분기별 결과를 보고한 후 발생했습니다. 알파벳은 예상보다 낮은 광고 수익과 AI를 위한 데이터 센터에 대한 지출 증가를 발표하면서 5.6% 하락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수익 추정치를 상회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소폭 하락했고, AMD는 AI 프로세서에 대한 강력한 판매 전망에도 불구하고 수익 예측이 기대에 못 미쳐 주가가 6% 하락했습니다​​.

👩‍🦰 이번 매도세는 거대 기업들뿐 아니라 소규모 AI 기업들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의 AI 부문에 대한 전반적인 시각 변화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사건이 AI 기술의 장기적인 전망을 반영한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시장 변동은 매우 심할 수 있지만, AI 분야는 여전히 엄청난 잠재력과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2. Shopify, AI 기반 이미지 에디터를 선보이다

AI뉴스

Shopify 발표한 ‘Winter ’24 Edition’은 100개 이상의 업데이트를 통해 플랫폼의 기반을 더욱 강화합니다. 이번 업데이트는 구매자 전환, 판매 채널, 마케팅, 운영 등 네 가지 핵심 분야에 초점을 맞추며, 상품 목록의 변형 한도를 2000개로 확장하고, 단일 상품 목록에서 여러 변형을 구매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합니다. 또한, AI 기반의 의미 검색 기능을 통해 소비자의 검색 의도를 더 잘 이해하고, 체크아웃 과정을 한 페이지로 간소화하여 구매 완료 시간을 단축합니다. Shopify Magic을 통해 AI 도구를 도입하여 온라인 상점의 미디어 편집 및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등 다양한 새로운 기능이 소개됩니다​

👩‍🦰 Shopify는 온라인 상점을 만들고 관리할 수 있는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 중 하나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잘 쓰이고 있는거 같진 않지만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가 있으니 😉 외국에서는 엄청 쓰이는 것 같더군요. 이미지 에디터 기능은 결국 상세페이지를 좀더 쉽게 작성하고 소비자의 검색 편의를 도와주는 기능이라고 보입니다. 곧 네이버에서도 이런 기능이 도입되지 않을까 싶네요.

3. Midjourney Niji v6 출시

AI뉴스

Midjourney Niji V6는 디지털 아트 커뮤니티에서 주목받는 최신 업데이트로, 특히 애니메이션 스타일의 디지털 아트 제작에 큰 발전을 가져왔습니다. 이 도구는 복잡한 프롬프트를 해석하고 텍스트와 이미지를 원활하게 결합하는 고급 기능을 제공하여, 아마추어 및 전문 디지털 아티스트 모두에게 새로운 예술 탐색 기회를 열어줍니다. 사용자는 더 자세하고 기술적인 프롬프트를 통해 복잡한 아이디어를 인상적인 애니메이션 비주얼로 변환할 수 있으며, 텍스트를 이미지에 직접 추가하는 기능 등을 포함한 다양한 새로운 기능을 제공합니다

👩‍🦰 애니메이션 스타일에 특화된 니지 저니를 많이 쓰시는 분들에게는 희소식일거 같네요. Midjourney 챗봇에서 “/settings”를 입력하고 “Niji Model 6″을 선택하면 Niji V6를 활성화할 수 있는데요.  ‘Vary (Region)’, ‘Pan’, ‘Zoom’ 등의 추가 기능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예전에는 이런 스타일의 작화집을 따로 팔기도 했었어요. 일본의 유명 작화가가들도 많았고 그래필 프로그램을 쓸 지언정 모두 손으로 그렸습니다. 이제는 정말 그런 작화가 들을 ai가 대신 하겠다 라는 생각에 이러한 발전이 편리 하면서도 일견 씁쓸하기도 하네요.

4. 오픈AI 가 생물학적 위협 생성 관련 연구 진행

AI뉴스

OpenAI는 LLM(대규모 언어 모델)이 생물학적 위협 생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 평가하는 조기 경보 시스템을 개발 중입니다. 이 평가는 생물학 전문가와 학생을 포함한 100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GPT-4의 도움을 받은 그룹이 인터넷만 사용한 그룹에 비해 생물학적 위협 생성 과정에서 약간의 성능 향상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습니다. 이 연구는 AI 모델이 생물학적 위협 정보 접근성을 어느 정도 증가시킬 수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정보 접근이 실제 위협 생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추가 연구의 기초를 마련합니다.

👩‍🦰 gpt 의 도움을 받은 그룹이나 인터넷만 사용한 그룹이나 생물학적 위협 생성 과정에서 ‘약간’의 성능 향상 밖에 보이지 않았다는 것은 결국 LLM은 LLM이 지난 연구를 모으고 정리하고 요약할 수는 있지만 결국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것을 알아내야 하는 건 사람들의 몫이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들게 하네요.

5. Mistral CEO, GPT-4 성능에 근접하는 새로운 오픈 소스 AI 모델 ‘유출’ 확인

AI뉴스


2024년 1월 28일, 오픈소스 AI 모델 및 코드 공유 플랫폼인 HuggingFace에 “miqu-1-70b”라는 새로운 대형 언어 모델(LLM)이 등장했다는 소식이 오픈소스 AI 커뮤니티를 뜨겁게 달궜다. 이 모델은 오픈소스 AI 회사 Mistral의 형식을 따르며, GPT-4에 버금가는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Mistral의 공동창업자이자 CEO인 Arthur Mensch는 소셜 네트워크 X에 글을 올려, 이 모델이 Mistral의 초기 고객 중 한 명의 직원에 의해 무단으로 유출된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는 Llama 2 모델을 기반으로 재학습한 Mistral의 오래된 버전임을 설명했다. Mistral은 GPT-4 수준의 성능을 가진 새로운 오픈소스 모델을 곧 발표할 예정이라고 암시했다. 이러한 발전은 오픈소스 AI 커뮤니티의 빠른 진화를 보여주며, OpenAI와 Google과 같은 상업적인 AI 회사들에게도 경쟁적인 압력을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Mistral 은 프랑스에 기반을 둔 인공지능 회사입니다. 이 회사는 오픈소스 대형 언어 모델(LLM)을 개발하고 제공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Mistral의 LLM은 텍스트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데 탁월한 성능을 보이며, 다양한 언어와 도메인에 적용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이와 같이 새로운 LLM 모델이 계속 해서 나오는 걸 생각하면 LLM을 베이스로 한 AI 서비스들도 엄청 다양해질 것 같네요. 과연 이 LLM이 GPT와 Bard 를 이길 수 있을지는 미지수 입니다만 대기업 몇개가 계속해서 시장의 파이를 장악하고 있는 것보단 더 다양한 회사가 더 높은 수준의 기술로서 경쟁하는게 기술 발전에 더 도움이 되지 않을 까 싶습니다.

6. Zum, AI를 활용해 스쿨버스 지원. 1억 4천만 달러 투자 받아 13억 달러의 기업 가치 평가

AI뉴스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둔 스쿨버스 스타트업 Zum은 AI와 EV를 활용하여 학교 교통의 효율성과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합니다. 최근 싱가포르의 주권 투자 기금 GIC 주도 하에 1.4억 달러의 투자를 유치, 기업 가치를 13억 달러로 상승시켰습니다. Zum은 미국 전역의 4,000여 개 학교에 자체 플랫폼을 제공하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 사용을 추구합니다. 거기에 최적화된 버스 노선, 부모에게 실시간 업데이트 제공, 그리드에 전력을 되돌려주는 EV 버스 통합 등을 특징으로 합니다​

👩‍🦰 미국 전역에 4000개의 학교에서 서비스를 제공 중인 Zum은 자체적인 전기 버스를 갖고 있고 버스의 충방전 시점을 분석하여 전력망에 전력을 되돌려줄 수도 있다고 하네요. 저는 미국의 스쿨버스라고 하면 전형적인 노란색 버스가 생각이 나는데요. 이제는 베기가스가 나오지 않은 전기 버스가 아이들의 등하교길을 책임 진다고 하니 베기가스가 나오지 않아 아이들의 건강에도 좋을 거 가고 실시간으로 버스 노선을 알 수 있도록 해서 아이들이 언제 오는지 미리 알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는 것도 부모들에게 큰 도움이 될거 같네요. 1억 4천 달러의 투자 역시 미래 세대를 책임질 아이들의 건강과 안전을 크게 고려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7. Instacart, 불안감을 주는 AI 생성 식품 이미지 조용히 삭제”

ai뉴스

Instacart는 Business Insider 기사와 관련하여 AI로 생성된 일부 식품 이미지를 삭제했습니다. 이 이미지들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구성, 비정상적인 그림자, 이상한 질감 혼합 등으로 이목을 끌었습니다. 예를 들어, “Chicken Inasal” 레시피의 사진은 어깨가 연결된 두 마리의 닭을 보여주었고, “Hot Dog Stir Fry”의 사진은 토마토 내부 질감의 핫도그 조각을 보여주었습니다. 일부 AI 생성 이미지는 여전히 Instacart 사이트에 남아 있으나,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기 위해 스톡 사진으로 대체되었거나 삭제되었습니다. Instacart는 이미지와 레시피가 AI에 의해 생성되었음을 공개적으로 밝혔으며, 사용자의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 요새 미드저니 갤러리에서 ai로 생성된 음식 이미지를 보면 거의 실사에 가깝게 그려졌던데 인스타카트가 ai로 레시피나 메뉴 이미지를 생성한다고 했지만 미드저니는 쓰지 않는가 보네요. 이렇게 되면 배달의 민족에서도 ai 이미지가 메뉴 이미지를 대신 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도 들고. (이미 메뉴 사진 자체가 포토샵 범벅이라 얼핏 보면 ai 스러워 보이기도 합니다만;) ai 이미지 생성이 정말 많이 발전하면 실제로 음식을 만들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음식사진을 만들어 상업적으로 쓸 수 있게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결국 내가 찍은 음식 사진이 ai가 만든 사진이 아니라는 증명도 필요하게 될 수 있겠네요.

8. 폭스바겐, 인공지능을 활용한 자동차 제조업에 도전하며 AI 연구소 개설

AI뉴스

Volkswagen이 인공지능(AI) 기술을 채택하는 자동차 제조업체들 사이에서 “인공지능 연구소”를 개설했습니다. 이 독일 자동차 제조사는 기술 회사들과 협력하여 AI를 사용한 제품 및 기능의 디지털 프로토타입을 생성할 계획입니다. 연구소는 목소리 인식, AI 최적화 충전 주기, 예측 유지 보수 서비스 등의 초기 단계 프로토타입 개발을 목표로 하며, 기술 분야의 회사들과의 협업을 촉진할 예정입니다. Volkswagen의 AI 실험은 자동차 산업 내에서 AI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음을 반영합니다​.

👩‍🦰 폭스바겐의 AI 연구소 개설과 자동차 산업에서 AI의 채택은 기술 진보의 중요한 단계를 나타냅니다. 이는 자율주행, 차내 인터페이스, 로봇 공학 등에서 AI의 가능성을 모색하려는 폭스바겐의 야심 찬 계획을 드러냅니다. 다른 자동차 제조사들도 AI를 도입하여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산업 전반의 혁신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AI 기술의 발전과 적용은 법적, 윤리적, 사회적 문제들을 수반하며, 이러한 도전과제를 극복하는 것이 향후 자동차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필수적인거 같습니다.

9. FCC, AI 생성 로보콜 금지 조치 추진

AI뉴스

FCC는 AI가 생성한 로보콜에 사용되는 음성 복제 기술을 기본적으로 불법으로 규정하고, 이를 통해 사기 운영자를 쉽게 기소할 수 있도록 제안하고 있습니다. 이 조치는 이미 필요한 자동 전화와 구별하여, 명백한 법 위반 행위를 더 쉽게 처리할 수 있게 합니다. FCC 의장 Jessica Rosenworcel은 이 신흥 기술을 현행 법 아래에서 불법으로 인식하고, 주 법무장관 사무실이 소비자 보호를 위해 이러한 사기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발표했습니다​. FCC는 미국의 전자파 인증 기관입니다.  FCC는 미국 내외의 무선, TV, 위성, 케이블, 유선 통신에 관련한 정책을 개발하고 규제합니다. 

👩‍🦰 몇일 전에 임재범의 목소리를 ai로 구현해서 브루노 마스의 노래를 부르는 것을 들었는데 정말 임재범이 브루노마스의 노래를 부르는 것 같았습니다. 이렇다면 ai가 다른 사람의 목소리 특히나 친구, 가족의 목소리를 흉내내어 범죄에 쓸 가능성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네요. 그렇기 때문에 FCC 가 음성복제기술을 불법으로 규정한거 같고요. FCC의 법안이 통과되면, AI로 생성된 로보콜은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며, 더욱 정교하고 감지하기 어려운 방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게다가 이미 AI 아바타로 음성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선보여지고 있는 이상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범죄 이용의 리스크는 점점 커질 것 같습니다.

Similar Posts